전체 글 38

드론 비행 안전 규정 및 해양법규 안내

1. 국내 드론 비행 규정 개요**키워드: 항공법, 등록의무국내에서 드론을 운용하기 위해서는 ‘항공법’에 따라 체계적인 등록의무와 비행 규정을 준수해야 합니다. 먼저 등록대상은 무게 250g 이상인 드론으로, 국토교통부에 온라인(www.k-uas.kr)으로 제작·수입·판매 정보를 등록하고 비행자격증(온라인 안전교육 수료증)을 취득해야 합니다(항공법 제33조). 비행고도는 해발 기준 150m 이하로 제한하며, 시계밖(Visual Line of Sight) 조건에서만 운용 가능합니다. 또한, 비행 전 드론 및 조종기 배터리 잔량, GPS·컴퍼스 캘리브레이션, 비행로그 저장장치 정상 작동 여부를 포함한 ‘사전 점검 리스트’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비행 속도는 최대 수직 상승 3m/s, 수평 이동 15m/s..

해안 침식 측정 정확도 향상을 위한 센서 캘리브레이션

1. 교정 기본 원리 및 중요성키워드: 교정기본원리, 정확도향상해안 침식 측정의 정확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센서의 체계적 교정기본원리 이해가 필수적입니다. 센서 교정이 없으면 LiDAR 거리 측정 오차가 1 m당 최대 10 cm, 멀티스펙트럴 반사도 측정 오차가 ±15%에 이르러, 매월 2~5 cm 수준의 해안 침식 변화 신호를 검출하기 어렵습니다. 교정은 크게 방사(반사도)와 기하(공간 위치) 두 가지로 구분됩니다. 방사교정은 센서 감도 변화, 조명 환경 변화에 따른 DN(Digital Number) 값을 실제 반사도로 변환하여 ±12% 내외의 편차를 ±2% 이하로 줄이고, 기하교정은 센서 장착 오차, 렌즈 왜곡, 드론 자세 오차를 보정하여 수평·수직 위치 정확도를 ±3 cm 이내로 확보합니다. 적절한..

프로젝트 베이스 솔루션: 건설 현장 해안 보호 활용법

1. 프로젝트베이스 솔루션 개요 및 활용법키워드: 프로젝트베이스, 활용법건설 현장 해안 보호 프로젝트베이스 솔루션은 특정 공사 구간(예: 1km 구간) 동안 드론+AI 기반 침식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공사 단계별 침식 위험도를 조기 검출하고 즉각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활용법입니다. 프로젝트 기간을 예컨대 6개월로 설정하고, 월별 침식량·퇴적량 변화를 측정하여 누적 침식 부피(단위: m³)를 계산합니다. 초기 단계에서는 공사 전 2주간 드론 정밀 스캔(고도 50m, GSD 5cm, 전방 중첩 80%, 측방 중첩 70%)을 실시해 기초 DEM을 구축하고, 이를 기준 DEM₀로 삼아 이후 DEM₁…DEM₆을 비교합니다. AI 모델은 DEM 차분(DoD)을 자동 계산해 ΔV(m³) 및 평균 침식 깊이(Δh, 단..

구독형(Subscription) 해안 모니터링 서비스 운영 전략

1. 구독 패키지 설계 및 요금 구조키워드: 구독패키지, 요금구조구독형(Subscription) 해안 모니터링 서비스는 월간·분기·연간 세 가지 구독패키지로 구성됩니다.Basic 플랜은 해안 100km 구간, 월 1회 비행·보고서 발행, 월 500만 원이며, 추가 구간 10km당 50만 원을 부과합니다.Standard 플랜은 해안 300km 구간, 월 2회 비행·보고서 발행, 월 900만 원이며, 추가 구간 10km당 45만 원으로 비용을 절감합니다.Premium 플랜은 해안 600km 구간, 월 4회 비행·보고서 발행·실시간 위험 알림, 월 1,600만 원이며, 추가 구간 10km당 40만 원을 적용합니다.각 플랜별로 연간 계약 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예를 들어 Premium 연간 요금은 1..

해안 침식 모니터링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 설계

1. 시장분석 및 가치제안키워드: 시장분석, 가치제안국내외 해안 침식 관리 시장은 연간 약 1조 원 규모로, 기후 변화 영향으로 매년 5.3% 성장하고 있습니다. 주요 수요처는 지자체·해양경찰·항만공사·발전소 등 연간 관측 예산이 30억 원 이상인 대규모 해안 관리 기관입니다. 이들은 전통적으로 연 2회 이상의 인력 조사, 위성·항공 이미지 구매, 외주 용역 비용으로 연간 15억 원을 지출해 왔습니다. 드론+AI 기반 모니터링 서비스는 연간 60% 이상 자동화로 인건비 1억 2,000만 원, 외주비 5,000만 원을 절감하며, 해안 침식량 탐지 정확도를 90% 이상으로 높여 복원 공사 비용을 연간 3억 원까지 줄여줍니다. 따라서 본 서비스는 “정확도 90%, 비용 절감 70%, 점검 주기 연 4회”라는 ..

공공기관 해안 관리에 드론+AI 도입한 성공 사례

1. 배경 및 도입 목표키워드: 배경, 도입목표국내 해안선 관리 업무는 연간 1,000km 이상의 해안 구간을 대상으로 연 2회 이상 현장 점검을 시행하며, 인력·장비·차량 운용비용으로 연간 15억 원 규모의 예산이 소요되었습니다. 특히 기후 변화로 인한 태풍·폭풍해일 빈도가 연평균 1.2회에서 1.8회로 증가함에 따라, 침식·퇴적 패턴을 시의적절하게 모니터링하고 복원 공법을 선제 적용하는 것이 긴급 과제로 떠올랐습니다. 이에 A지방자치단체 해양관리공단은 “드론+AI 기반 해안 관리 시스템 도입”을 통해 점검 주기 단축, 데이터 정확도 향상, 예산 절감을 동시에 달성하겠다는 명확한 도입목표를 설정했습니다. 구체적으로는 ①연간 2회였던 점검 횟수를 4회로 늘려 계절별 침식 양상을 분석, ②기존 수작업 대비..

중소 해양 연구소를 위한 저비용 드론 시스템 구축 사례

1. 플랫폼선정 및 하드웨어 구성키워드: 플랫폼선정, 비용절감중소 해양 연구소가 활용할 수 있는 저비용 드론 시스템의 핵심은 합리적 플랫폼선정입니다. 상용 산업용 드론(1,500만 원대)을 대신해 DJI Mini 3 Pro(약 60만 원) 또는 Autel Evo Nano(약 70만 원) 같은 소비자급 드론을 기본으로 채택합니다. 페이로드는 최대 249g 이하로 유지해 항공규제 면제 범위(250g 미만)를 확보하며, 배터리 당 비행시간 34분, 최대 속도 16m/s, 4K 영상 촬영 기능을 제공합니다. 오픈소스 비행제어 소프트웨어(ArduPilot, PX4)는 무료로 설치해 GPS·IMU·컴퍼스 캘리브레이션 기능을 제공하며, 추가 비용 없이 자동 비행 경로 설정과 비행 로그 기록이 가능합니다. 드론 2대 ..

비용–효과 분석: 드론+AI 솔루션 투자 대비 절감 효과

1. 초기 투자비용 분석키워드: 초기투자, 드론하드웨어드론+AI 솔루션 도입을 위해서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에 대한 초기투자가 필수적입니다. 드론 플랫폼으로 산업용 쿼드콥터 2대(대당 1,500만 원)를 구매하면 총 3,000만 원이 소요됩니다. 여기에 멀티스펙트럴 센서(2대, 대당 800만 원) 및 LiDAR 모듈(2대, 대당 1,200만 원)을 장착하면 하드웨어 비용은 총 3,000 + 1,600 + 2,400 = 7,000만 원입니다. AI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및 커스터마이징 비용은 연 1,000만 원, 초기 구축 컨설팅·개발비용이 1,500만 원 정도 발생한다고 가정하면, 초기 소프트웨어·개발비는 2,500만 원입니다. 또한, 데이터 저장 및 처리용 클라우드 인프라(AWS EC2 GPU 인스턴스..

해양 기상 데이터와 AI를 연계한 침식 예측 방법

1. 해양기상 데이터 통합 및 전처리키워드: 해양기상, 데이터통합해양 침식 예측의 첫걸음은 파고(波高), 파주기, 파향, 풍속·풍향, 해면기압, 해수면 온도, 만조·간조 시각과 수위(조석) 등 다양한 해양기상 데이터를 일원화해 품질을 확보하는 것입니다. 우선 드론·부표·해양관측소·위성으로부터 수집된 원시 데이터를 AWS S3나 Google Cloud Storage에 업로드하며, 각 파일에 촬영 일시(ISO 8601), 위치(위도·경도 소수점 6자리), 센서 유형 및 샘플링 주기(예: 파고 10초, 풍속 1분) 메타데이터를 태깅합니다. 이후 시계열 전처리 단계에서는 ① 결측치 보간: 선형(linear) 및 스플라인(spline) 보간을 적용해 최대 12시간 연속 누락 구간을 보완하고 ② 이상치 제거: IQ..

엣지 컴퓨팅 드론으로 빠른 침식 예측 시스템 설계

1. 시스템 아키텍처 및 에지컴퓨팅 개념 설계키워드: 에지컴퓨팅, 시스템아키텍처엣지컴퓨팅 드론 기반 침식 예측 시스템은 센서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중앙 서버로 전송하기 전 드론 자체 내장 컴퓨팅 유닛에서 실시간 처리·분석함으로써, 지연시간(latency)을 최소화하고 네트워크 부담을 줄이는 구조로 설계해야 합니다. 전체 아키텍처는 크게 ① 드론 플랫폼(하드웨어), ② 에지 컴퓨팅 모듈(온보드 컴퓨팅), ③ 통신 인프라(5G·LTE·메시 네트워크), ④ 클라우드 백엔드(데이터 집계·모델 재학습), ⑤ 사용자 인터페이스(UI)·알림 시스템으로 구성됩니다. 드론은 멀티스펙트럴·LiDAR·RGB 카메라 등 다중 센서를 통합 장착하고, 센서 데이터 버퍼링·전처리·실시간 예측을 수행할 수 있는 NVIDIA Jets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