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32

멀티스펙트럴 센서 장착 드론 선택 가이드

1. 멀티스펙트럴 센서 기본 스펙 비교멀티스펙트럴 센서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band)을 이용해 지표면의 반사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핵심 장비로, 센서별로 선택 가능한 밴드 수, 스펙트럼 해상도, 공간 해상도(Ground Sample Distance, GSD), 최대 프레임 레이트 등이 상이하다. 밴드 수가 많을수록 식생지수(NDVI), 수분지수(NDWI) 등 다양한 지표면 특성 계산이 가능하지만, 무게와 전력 소비량이 증가해 드론의 비행 시간과 호환성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4밴드(적색·녹색·청색·근적외선) 센서는 기본적인 식생 모니터링에 적합하나, 8밴드 이상을 지원하는 센서는 토양 수분, 해안 침식, 광물 탐사 등 다분야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 해상도는 비행 고도와 렌즈 초점 거리에 따라 결정..

드론+AI로 해안 침식 실시간 감시하기: 개념과 기술 개요

1. 드론 기반 해안 침식 모니터링 개념드론 기반 해안 침식 모니터링은 무인 항공기(드론)를 활용해 해안선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수집된 고해상도 항공 영상을 통해 침식 징후를 조기에 탐지하는 개념이다. 전통적으로 해안 침식 관측은 인력 조사나 위성 이미지를 이용했으나, 높은 비용·낮은 빈도·늦은 피드백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드론은 저고도 비행을 통해 미터 단위 이하 해안 지형 변화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GPS 기반 자동 비행 경로 설정을 통해 동일 지점을 정밀하게 재촬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침식 발생 초기에 대응책을 마련하거나 복구 작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유리하다. 특히 해안선이 급격하게 변하는 지역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주기적 관측 주기가 짧을수록 이상 징후를 빠르게 인지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