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05 15

AI 기반 해안선 변화 자동 검출 알고리즘 소개

1. 개요 및 필요성 소개키워드: 개요, 필요성AI 기반 해안선 변화 자동 검출 알고리즘은 드론·위성·무인항공기(UAV)로 촬영된 연속 영상 또는 정기 촬영 데이터를 활용해 해안선 위치 변동을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하기 위한 핵심 기술입니다. 전통적인 현장 조사 방식은 인력·비용·시간이 과다 소요되고, 위성 이미지는 해상도·촬영 주기 한계로 실시간 대응에 취약합니다. 반면 AI 알고리즘은 수백 기가바이트 급 대용량 데이터를 자동 분류·비교·분할하고, 영상 전·후 시점 변화만 추출해 해안침식·퇴적 패턴을 정량화합니다. 특히 재난 대응·방재 설계·환경 보전 정책 수립에 있어 변화 지점을 조기에 감지해 경보를 발령하거나 복원 공법을 최적화하는 의사결정 지원 도구로 활용됩니다. 초기 시스템 도입 단계에서는 과거 ..

해안 침식 데이터 수집을 위한 드론 비행 계획 수립

1. 목표수립 및 조사구역 설정키워드: 목표수립, 조사구역해안 침식 모니터링 프로젝트는 구체적이고 측정 가능한 목표수립에서 출발합니다. 예컨대 “분기별 주요 절벽 구간의 침식량을 2cm 단위로 계측하여 복원 공법 효과를 검증한다”, “연평균 침식 속도가 5cm를 넘으면 즉시 경보를 발령한다”처럼 정량적·정성적 지표를 명확히 정의해야 이후 비행 빈도, 촬영 해상도, 데이터 처리 주기가 결정됩니다. 목표가 확정되면 GIS 플랫폼에서 조사구역(Area of Interest)을 폴리곤으로 설정합니다. 해안선 전체를 단일 구역으로 처리하기보다는, 사구·절벽·갯벌·암반·해조류 분포·인접 인프라·비행 금지구역 등 다양한 특성을 반영하여 여러 **Unit Sector(세부 구획)**으로 분할합니다. 각 구획은 드론 배..

LiDAR 드론을 활용한 해안 지형 측정 방법

1. LiDAR 센서 기술 원리 및 스펙 비교 (키워드: LiDAR, 펄스 레이저, 스펙트럼)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는 레이저 펄스를 대상 물체에 발사한 뒤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해 거리를 계산하는 Time-of-Flight(TOF) 방식이 핵심이다. 해안 지형 측정을 위해서는 레이저 파장(532 nm vs. 1,550 nm), 발사 펄스 에너지(Pulse Energy), 펄스 반복률(PRF), 빔 분산(Beam Divergence)을 꼼꼼히 비교해야 한다. 예컨대 1,550 nm 대역은 수면 투과력(Bathymetric Penetration)이 높아 얕은 수역까지 지형 점군을 획득할 수 있지만, 물방울·염분에 의한 신호 감쇄가 커질 수 있다. 반면 532 n..

멀티스펙트럴 센서 장착 드론 선택 가이드

1. 멀티스펙트럴 센서 기본 스펙 비교멀티스펙트럴 센서는 서로 다른 파장 대역(band)을 이용해 지표면의 반사 스펙트럼을 분석하는 핵심 장비로, 센서별로 선택 가능한 밴드 수, 스펙트럼 해상도, 공간 해상도(Ground Sample Distance, GSD), 최대 프레임 레이트 등이 상이하다. 밴드 수가 많을수록 식생지수(NDVI), 수분지수(NDWI) 등 다양한 지표면 특성 계산이 가능하지만, 무게와 전력 소비량이 증가해 드론의 비행 시간과 호환성에 영향을 준다. 예컨대 4밴드(적색·녹색·청색·근적외선) 센서는 기본적인 식생 모니터링에 적합하나, 8밴드 이상을 지원하는 센서는 토양 수분, 해안 침식, 광물 탐사 등 다분야 응용이 가능하다. 또한 공간 해상도는 비행 고도와 렌즈 초점 거리에 따라 결정..

드론+AI로 해안 침식 실시간 감시하기: 개념과 기술 개요

1. 드론 기반 해안 침식 모니터링 개념드론 기반 해안 침식 모니터링은 무인 항공기(드론)를 활용해 해안선 변화를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수집된 고해상도 항공 영상을 통해 침식 징후를 조기에 탐지하는 개념이다. 전통적으로 해안 침식 관측은 인력 조사나 위성 이미지를 이용했으나, 높은 비용·낮은 빈도·늦은 피드백이라는 한계가 있었다. 반면 드론은 저고도 비행을 통해 미터 단위 이하 해안 지형 변화를 세밀하게 파악할 수 있으며, GPS 기반 자동 비행 경로 설정을 통해 동일 지점을 정밀하게 재촬영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침식 발생 초기에 대응책을 마련하거나 복구 작업의 효과를 검증하는 데 유리하다. 특히 해안선이 급격하게 변하는 지역에서는 드론을 이용한 주기적 관측 주기가 짧을수록 이상 징후를 빠르게 인지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