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론+AI 결합 해안 침식 모니터링 솔루션

구독형(Subscription) 해안 모니터링 서비스 운영 전략

juinfo 2025. 7. 5. 21:06

 

구독형(Subscription) 해안 모니터링 서비스 운영 전략
구독형(Subscription) 해안 모니터링 서비스 운영 전략

1. 구독 패키지 설계 및 요금 구조

키워드: 구독패키지, 요금구조
구독형(Subscription) 해안 모니터링 서비스는 월간·분기·연간 세 가지 구독패키지로 구성됩니다.

  • Basic 플랜은 해안 100km 구간, 월 1회 비행·보고서 발행, 월 500만 원이며, 추가 구간 10km당 50만 원을 부과합니다.
  • Standard 플랜은 해안 300km 구간, 월 2회 비행·보고서 발행, 월 900만 원이며, 추가 구간 10km당 45만 원으로 비용을 절감합니다.
  • Premium 플랜은 해안 600km 구간, 월 4회 비행·보고서 발행·실시간 위험 알림, 월 1,600만 원이며, 추가 구간 10km당 40만 원을 적용합니다.
    각 플랜별로 연간 계약 시 10% 할인 혜택을 제공하여, 예를 들어 Premium 연간 요금은 1,600만×12×0.9 = 1억 7,280만 원으로 책정됩니다. 구독 고객은 웹·모바일 대시보드, API 연동, SMS·이메일 알림, 분기별 온·오프라인 교육(연 2회)을 모두 포함해 이용할 수 있습니다.

2. 운영 워크플로우 및 SLA 관리

키워드: 운영워크플로우, SLA관리
구독 고객에게는 정해진 운영워크플로우와 SLA(Service Level Agreement)를 제공합니다. 매월 혹은 월 2·4회 정해진 비행 일정에 따라 드론이 자동 비행(예: 매월 1·15일 오전 9시~12시)하도록 예약하고, 비행 전 48시간 전에 SMS·이메일로 알림을 발송합니다. 촬영 후 영상 수집·업로드·전처리·AI 분석·보고서 생성까지 총 평균 처리 시간은 24시간 이내로 보장하며, SLA관리 기준은 99.5% 시스템 가동 시간, 보고서 지연 1% 미만, 긴급 알림 오발생률 0.2% 미만을 유지합니다. 시스템 장애 발생 시 2시간 이내 복구, 보고서 미전달 시 보상으로 해당 월 요금의 10%를 크레딧으로 환급합니다.

3. 고객 온보딩 및 유지 전략

키워드: 온보딩, 고객유지
구독형 서비스의 장기 성공을 위해 온보딩 단계에서 고객 교육과 초기 설정을 철저히 합니다. 계약 체결 후 2주 이내 기술 세미나(온라인 2시간)와 현장 시연(1회, 4시간)을 제공하고, 고객 전담 매니저를 배정해 첫 3개월 동안 주간 상태 보고·피드백 회의를 진행합니다. 고객유지를 위해 월별 NPS(Net Promoter Score)를 측정하고, NPS 60점 이상을 목표로 설정합니다. 분기별 서비스 만족도 설문에서 응답률 80% 이상, 긍정 응답률 90% 이상을 달성하면 연말 구독 요금 5% 추가 할인 쿠폰을 발급합니다. 또한 12개월 이상 장기 구독 고객을 대상으로 신제품·기능 베타 테스트 기회를 제공하여 이탈률을 연 5% 미만으로 유지합니다.

4. 확장성 및 비용 최적화

키워드: 확장성, 비용최적화
서비스 확장을 위해 확장성을 고려한 인프라와 조직 체계를 갖춥니다. 드론 노드 수는 구독 증가율 20%마다 2대씩 증설하며, 클라우드 컴퓨팅 자원(AWS EC2 C5.large 등)은 오토스케일링 그룹으로 구성해 평균 CPU 사용률 50%를 유지하도록 합니다. 비용최적화 방안으로는 예약 인스턴스(RI) 활용 비율 70%, 스팟 인스턴스 20%, 온디맨드 10% 비율로 운영해 연간 클라우드 비용을 30% 절감합니다. 드론 유지보수는 연 4회 정기점검 계약으로 부품 교체·배터리 교체비를 연간 드론당 100만 원 이내로 관리하며,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역시 오픈소스(ODM, QGIS) 활용 비율 80%로 유지해 소프트웨어 라이선스 비용을 40% 낮춥니다. 확장 2년 차에는 구독 고객 50곳, 월 매출 5억 원을 목표로, 구독당 평균 운용비용 대비 65%의 마진을 확보합니다.